워렌버핏 2025년 최신 포트폴리오 13F 공시 변화 살펴보기
최근 미국시장은 고점에 대한 조정과 트럼프대통령의 정책에 대한 우려로 매우 불안한 상태입니다. 하락장을 예측하는 전문가들도 많습니다. 그동안 미국시장은 많이 올랐으니 이제는 내려가는 것이 어쩌면 순리이겠지요? 변동성의 확대로 지금까지의 포트폴리오와는 다른 스탠스를 취해야 하는 이 시기 주식대가들은 어떤 선택을 하고 있을까요? 저의 포트폴리오도 워렌버핏의 포트폴리오를 참고로 짜여져 있는데요. 2025년은 어떤 포트폴리오를 구성해야 할지 워렌버핏의 최신 포트폴리오를 살펴보고 투자전략을 세워야 겠습니다.
그럼 2025년 워렌버핏의 최신 포트폴리오 13F 공시 변화를 살펴볼까요?
워렌버핏 2025년 최신 포트폴리오 13F 공시 변화
워렌버핏 포트폴리오 TOP10
애플(AAPL) 매도 중단
지난해 버핏은 꾸준히 애플 지분을 줄이면서 관심을 모았습니다. 단순한 포트폴리오 조정이라는 견해와 밸류에이션이 지나치게 높다는 등의 다양한 해석이 나왔습니다. 특히 애플의 전망을 부정적으로 내다 본 것이 아닌지에 대한 의견이 많았습니다. 그러나 이번에 버핏이 애플 매도를 멈췄다는 것은 여전히 애플에 투자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는 뜻이 아닐까 싶습니다.
식음료 섹터에 대한 투자
버핏은 이번 분기에 도미노피자에 대한 지분을 늘렸습니다. 직전 분기에 새로 편입한 후 추가로 매수를 하였고, 컨스텔레이션 브랜즈에 대한 투자도 시작하였습니다.
도미노피자는 국내에서도 유명한 피자 브랜드 중 하나로 미국을 비롯한 다양한 국가에서 프랜차이즈 사업을 벌이고 있습니다. 컨스텔레이션 브랜즈는 다소 낯선 이름인데요. 코로나 맥주로 유명한 회사입니다. 이 기업은 멕시코산 주류 수입업체로 코로나를 비롯해 모델로, 빅토리아, 퍼시픽코 등의 맥주 라인업을 갖추고 있습니다. 일각에서는 컨스텔레이션 브랜즈 매수를 결정한 것은 버핏의 의견이 아니라는 썰이 있습니다. 버크셔 해서웨이의 포트폴리오는 버핏 혼자서 관리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나온 의견입니다. 누구의 선택이었는지 알 수는 없지만, 버크셔 해서웨이의 포트폴리오를 참고한다면 이런 가능성도 염두에 둘 필요가 있습니다.
SPDR S&P500(SPY) 전량매도
버핏이 S&P500 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펀드 상품을 전량매도했다는 소식은 깜짝 놀랄 만한 일입니다. 버핏은 시장을 추종하는 ETF의 투자 매력을 그 누구보다도 강조해왔던 인물이기 때문인데요. 자신이 죽거든 유산의 10%는 미국 국채에, 나머지 90%는 S&P500 인덱스 펀드에 투자하라고 유산에 적었을 정도입니다. 그런 그가 S&P500 ETF를 종류와 상관없이 전부 매도하였다는 것은 폭락에 대비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시장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옵니다. 버핏이 현금을 계속 축적하고 있는 것을 보니 더더욱 타당한 추측인것 같습니다. 버핏이 현재 시장의 밸류에이션이 지나치게 높다고 판단했다는 근거로 볼 수 있으며, 이러한 지적은 월스트리트 일각에서도 계속 제기되고 있습니다. 현재 시장에 거품이 지나치게 껴 있으니 언제든 폭락이 올 수 있으며 폭락이 오지 않더라도 S&P500에 투자해 기대할 수 있는 수익률이 낮다는 의견이 계속해서 나오는 만큼 어느때 보다 신중하게 투자하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투자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 고배당 주식 맥쿼리인프라 088980 (0) | 2025.03.03 |
---|---|
kodex200 TR 278530 (0) | 2025.01.14 |
국내 고배당주식 배당수익률 4%이상 시가총액 코스피 100위 이내 기업 (4) | 2024.12.08 |
미국 월배당 ETF JEPQ 배당금 배당수익 수수료 얼마? (5) | 2024.12.01 |
미국 월배당 ETF JEPI 배당금 배당수익률 수수료 얼마? (1) | 2024.11.24 |